본문 바로가기
정보 스토리

주식 배당관련 용어 정리

by james04.07 2020. 12. 13.

주식 배당관련 용어정리

배당

기업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을 말한다.

 

주식배당

배당을 현금배당이 아닌 주식으로서 배당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회사는 현금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아 기업의 재무구조에 이점이 생긴다. 또한 자본금의 증가로 회사의 담보력과 신용도가 좋아질 수 있다. 그리고 시장에 풀리는 유동주식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시장성에 좋은 장점이 있다.

 

중간배당

보통 대한민국에서는 연말 결산배당을 하지만 반기 혹은 분기마다 배당을 하는 회사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가 분기 배당을 시행중이다.

 

우선주

주주에게 의결권이 주어지지 않는 대신 더 높은 배당을 주는 주식을 말한다. 

 

배당락일

현재의 배당금에 대한 권리가 주식 매입일 현재 상실되는 늘알 의미하며, 이날 이후로 주식을 매입할 경우 배당받을 수 있는 권리가 없어지게 된다. 배당락일은 배당 기준일 바로 전 영업일이 된다. 배당락일 하루 전 영업일까지 주식을 매입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다. 

 

배당기준일

배당받을 권리를 정하는 기준일자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매 사업연도의 결산일이 배당기준일이다. 배당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이름이 기재되어 있어야만 배당받을 수 있다. 

 

올해를 예를 들어보면 이렇습니다.

우선 12월31은 주식시장이 휴장을 하게 된다. 이때문에 12월 30일내가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배당기준일은12월30일이 되는 것이고 12월29일은 배당락일이 된다. 즉 12월 28일날 장마감 전까지 내가 주식을 구매해서 보유하고 있어야만 배당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다시 12월 29일 배당주를 팔아도 상관없게 된다. 

댓글